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문화제이야기

정조의 술 이야기

문화제 이야기

정조의 술 이야기

만인에게 왕이 건네는 한 잔의 술

글 – 전진우 작가 / 그림 – 김지애 작가

영조 집권 시대까지는 조선왕조 500년간의 강력한 금주령이 있었다.
술을 마셨다는 이유로 참수형을 집행했던 최초의 사건도 바로 영조 때의 일이다.
하지만 금지는 욕망을 낳는 법. 시대가 변하는 속도에 맞추어 술 문화는 점차 자유로워졌다.

숨어서 술을 유통하던 서민들에게는 거리에 나와 장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고 관리들 사이에서도 아름다운 경치 속에서 술을 마시며 시를 주고받는 문화가 유행했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했던 사람은 바로 영조 다음의 왕 ‘정조'였다.

당연하게도 정조에게는 술과 관련된 재미있는 일화들이 있다.
이미 한양 거리에 술집이 즐비해 있고 요즘처럼 백성들이 3차, 4차의 술자리를 이어가는 게 유행인 무렵의 일이다.

1796년 어느 날 밤, 술에 취해 궁궐 담장에 누워 잠든 유생이 있었는데, 이 사실이 정조에게까지 전해지게 된다.
벌을 받게 될 운명이었던 그 유생에게 정조는 ‘술의 멋을 아는 이다.’라고 말하며 되레 쌀을 포상으로 내렸다고 한다.

또한 규장각의 서리인 박윤목이 정조에게 불시에 불려와서는 인왕산에서 술을 마시며 시를 읊으며 놀았다고 사실대로 말하니 이때에도 정조는 술을 줘서 돌려보내며 주흥을 마저 즐기라고 했다고 전해진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정약용의 기록에도 정조와의 술자리 이야기가 있어 웃음을 자아낸다.

“중희당에서 삼중소주를 옥필통에 가득히 부어서 하사하시기에 사양하지 못하고 마시면서, 나는 오늘 죽었구나라고 마음속에 혼자 생각했었는데 몹시 취하지는 않았었다.”
정약용<정다산전서>

유생과 서기,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뿐 아니라 백성에게도 술을 권하던 왕, 정조.
그에게 술은 어떤 의미였을까?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으레 붙여지는 설명은 어딘가 허술하고, 실수를 거듭한다는 내용이지만 정조에게는 그런 수식조차 붙지 않는다.
그에게 술은 흐트러짐이 아닌 현실을 마주하는 장이었던 것이다.
조선의 술 문화 중에는 하나의 술잔을 돌려가며 마시는 ‘수작’이라는 것이 있었다.
정조는 관료들에게 술을 넉넉히 베풀고 취할 때까지 잔을 돌려가며 마시게 했다.
하나의 잔은 다양한 계층, 다양한 생각을 가진 이들을 이어주는 상징으로, 바로 임금과 그의 국가관이었던 것이다.

‘만천명월주인옹자서.’ 창덕궁 후원에 있는 존덕정 천장에는 정조의 친필로 이 문구가 새겨져 있다.
‘냇물은 만개지만 비추는 달은 하나이고, 임금은 만백성의 주인이다.’
백성을 공평하게 아끼려는 마음과 조선을 강하게 만들려는 의지가 한 잔 술잔에 담겨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권해졌던 것.

정조에게 술은 한 잔의 깊은 마음이었다.